영화소개
영화 '서울의 봄'의 배경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 군사반란 발생한 그날,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게 됩니다. 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 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이게 됩니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 사이, 9시간 동안 일촉즉발의 시간이 흘러가면서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을 하는 그날 밤, 대한민국 수도에서 가장 치열한 전쟁이 펼쳐지는 상황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캐릭터들의 인간적인 모습과 복잡한 상황을 통해 국가 운명을 뒤흔든 그날 밤을 생생하게 그려내어, 관객들에게 국가 역사를 더 깊이 이해하고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주요스토리
영화 '서울의 봄'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김동규의 총에 맞아 서거한 이후, 육군참모총장 겸 계험사령관이 된 정상호는 마치 대통령이라도 된 듯 설치고 다니는 전두광 즉, 국군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 때문에 고민을 앓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정치에 관심이 없는 이태신을 수도경비사령관 자리에 앉히려고 하였고, 이태신은 극구 그 자리를 마다하였지만 전두광과 하나회 패거리를 견제하기 위해선 당신밖에 없다는 정상호의 당부에 결국 사령관직을 수락하게 됩니다. 한편 전두광의 절친인 노태건은 제 9보병사단장과 하나회 선후배를 불러모아 쿠데타를 도모하였고, 눈엣가시인 정상호 참모총장은 대통령이 죽던 자리에 있었으며 김동규와 연이 닿아있지 않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을 볼모로 재보궐선거로 선출된 새 대통령인 최한규에게 재수사 재가를 받는 걸로 작전을 시작하자고 말하게 됩니다. 하나회인 제 1군단장 한영구와 국방부 군수차관보 배송학, 수도군단장, 제2공수특전여단장과 제4공수특전여단장 등이 전두광의 위험한 작전에 동참하기로 하여 하나회는 누가 그 그룹에 속해있는지 제대로 찾아내기 힘들정도로 군 수뇌부 곳곳에 비밀리에 퍼져있었습니다. 하지만 최한규 대통령은 김동규건은 이미 수사가 끝난 사건이라 총장을 수사하라는 재가를 내주지 않게 됩니다. '생일 집 잔치' 라 작전명을 붙인 쿠데타는 자신들 라인이 아닌 이태신과 김준엽, 공수혁을 비밀 요정집에 집결시켜 술 한잔을 대접하면서 잠시 한눈팔게 만들었고, 전두광을 오기를 기다리며 한 잔 기울이고 있던 세 사람은 참모총장이 불법 체포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수도경비사령부로 달려갑니다. 육군참모차장인 민성배는 대치상황에 놓인 아군들끼리 충돌을 두고 사령관인 이태신을 트집잡으며 따지고 들지만 이내 사태의 범위가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전두광은 선후배들의 군 세력을 총동원하여 국방부의 필동 수경사, 중앙청 등을 장악하려 하고, 이태신은 최후의 방어선인 행주대교에 직접 나가 공수여단이 밀고 들어오는 걸 막는 것을 계획을 세웠으며, 다행히 가까스로 중앙청에 이어져 있는 거의 모든 한강다리를 국민들과 자신의 세력으로 막았습니다.하지만, 진압군 세력의 모든 통신망을 장악하고 있던 하나회 국군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의 보좌로 한 발 더 앞서있었고 이태신은 최후의 작전으로 제 8공수특전여단장인 박기홍에게 야포를 조준하라고 명령합니다.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거냐며 소리치는 전두광에게 이태신은 최후까지 거세게 반항하지만 사태 후 겁이난 나머지 미8군 사령부에 숨어있던 오국상 국방부 장관이 하나회에 붙잡혀 실시간으로 이태신의 직위를 해제해버리고 맙니다. 어떻게든 전두광의 쿠데타를 저지하려 혼자 힘으로 바리케이트도 뛰어넘고 앞으로 전진하던 이태신은 야밤에 자신을 따라온 100여명의 부하들의 목숨과 근처에서 지켜보던 시민들의 안전을 택하게 됩니다. 그렇게 전두광과 하나회는 혁명에 성공하게 되면서 영화는 끝이납니다.
등장인물
전두광: 보안사령관 이며, 권력의 달콤함을 노리며 군내 사조직을 동원해 군사반란을 계획하는 주요 인물로 나타납니다. 그의 야심과 계획력을 통해 영화에서 긴장과 팽팽한 대립을 보여주는 데에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이태신: 수도경비사령관이며, 전두광을 견제하기 위해 임명된 인물로, 군사 반란을 막기 위해 힘을 모으는 인물입니다.
정상호: 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이며, 반란군과 진압군 사이의 대립을 주도하는 중요한 인물로 등장합니다.
김준엽: 헌병감이며, 사건이 일어난 그날 밤 긴장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등장합니다.
공수혁: 특전사령관이며, 반란군과 군사적 충돌에 참여하여 영화의 긴장감을 고조시킵니다.
서울의 봄의 실제 역사
영화의 제목인 '서울의 봄'은 10.26 사태 이후 민주화의 희망으로 벌어진 민주화 운동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영화는 12.12사태가 발발한 1979년 12월 12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날 이후로 일어나는 민주화 운동의 출발선이 되는 사건입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정치적인 억압과 시민의 자유를 제한한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하였고, 1961년의 군사적 업적 이후 권력을 계속 잡으며 계엄령과 반대 의견의 억압을 통해 통제를 유지하였습니다. 그 반란의 시작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자신의 정보 기관장에 의해 암살된 것이었습니다. 이 사건은 권력의 공백을 만들었고, 정부 내의 계급과 정치적인 세력들 간의 경쟁을 이끌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두환과 그의 동조자들은 그들의 영향력을 주장하고 정부에 대한 통제권을 얻는 기회를 노리기 시작하였습니다.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그의 동조자들은 부산의 거대한 지역에서 고위 공무원들의 체포와 계엄령의 시위를 포함하여, 일련의 조직적인 행동을 시작했습니다. 그 반란은 전두환에 대한 동조자들과 반대자들 사이에서 분열되면서 급격하게 시민들까지 들고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지역에서 민주화 시위자들이 전두환의 계엄령의 시위에 대응하여 정부군과 충돌하면서 최악인 상황이 되었고, 1979년 12월 12일의 사건들과 이후의 정치적인 불안은 전두환이 한국의 실질적인 지도자로서 권력에 오른 기반을 만들었습니다. 정권 장악하던 전두환은 1987년에 저지른 짓들이 알려지게 되었고, 1987년 6월 민주화항쟁을 통해 1988년에 민주화가 되었습니다.
영화의 관전포인트
영화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대한민국의 운명을 바꾼 한 순간을 다룹니다. 그날 밤의 긴장감을 묘사하는 데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군사 반란의 팽팽한 대립과 잔잔한 공포를 관객에게 전달하면서 그날 밤의 긴박한 상황과 전쟁 같은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또한, 1979년 대한민국 역사상 중요한 한 순간을 다루고 있으며,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재현하며, 역사 애호가들에게 권장되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국가 운명을 뒤흔든 그날 밤의 이야기를 통해 역사의 숨결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세 신입사원 , 30세 여성 CEO? 영화 '인턴' (2) | 2025.02.09 |
---|---|
세상은 반대에 끌린다 ! 영화 '엘리멘탈' (2) | 2025.02.08 |
가족 영화 추천, 애니메이션 영화 '코코' (1) | 2025.02.06 |
알고보니 가짜의 삶이었던 트루먼의 '트루먼 쇼' ! (0) | 2025.02.05 |
가슴 아픈 역사를 담은 영화 , '암살' (0) | 2025.02.04 |